자동차 산업의 성장
1970년대 후반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됩니다. 1978년 현대자동차가 포드(FORD)사와의 협력을 통해 출시한 ‘그라나다’는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모델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시기 대부분의 승용차는 소형차가 중심이었으며 따라서 생산 또한 소형차 중심이었습니다. 그러한 시기에 그라나다는 현대자동차가 중형도 아닌 (준)대형 승용차 시장에 진입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기술적 도약과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대에 발판이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그라나다의 탄생 배경, 디자인, 성능,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 |
사진 출처: Charles01, CC BY-SA 3.0, via Wikimedia Commons 원본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Ford_Granada_MkII_pre_facelift_ca_1980.jpg |
탄생 배경
1976년 현대자동차가 포니를 출시하면서 국내 자동차 시장은 소형차 중심으로 전환되었습니다. 특히 1차 석유파동 이후 정부의 에너지 절약운동과 국산화율이 높던 소형차 위주의 자동차 공업 육성 풍토가 있는 반면에 연료 소비가 높은 고급차량들은 1974년 이후 생산금지 조치를 받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당시 고급차 시장은 사라지면서 한동안은 우리나라 자동차 회사는 고급차를 생산하지 않았지만 197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부터 자동차 시장은 성장세를 보이며 보다 다양한 차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새마을 운동을 시작으로 이제 성공적인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이루었고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기존의 포니와 같은 소형차뿐만 아니라 중대형 승용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현대자동차에서는 대형 세단 시장에 도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를 위하여 당시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사였던 미국의 포드사와 협력하여 포드사의 대형 승용차 모델 중 하나인 ‘그라나다’를 국내 시장에 맞춰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포드사에서는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현대자동차는 국내 조립 및 판매를 담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디자인과 성능
그라나다는 1970년대 후반 유럽 및 미국 시장에서 인기 있던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한 모델로써 고급스럽고 세련된 외관을 자랑했습니다. 크롬 장식과 직선적인 차체 라인은 그 당시 대형 세단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넓은 실내 공간과 실내 인테리어 소재의 고급화 그리고 대형 차량 답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했습니다. 당시의 편의 장치를 잠깐 살펴보자면 파워 윈도우, 전동식 사이드 미러, 중앙 집중식 도어 잠금장치, 인체공학적 시트 적용 등으로 봤을 때 현재의 사양과도 크게 차이가 없을 만큼 고급화 되어있었습니다.
성능 면에서도 마찬가지로 강력한 파워트레인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엔진을 보자면 2.0L의 경우 배기량 1,993cc로 수냉식 V6 OHC 엔진을 얹었으며, 최고출력 102마력, 최대토크 16.9kgm, 최고속도 165km/h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2.0L 및 2.3L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으며, 후륜구동 방식으로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보였습니다. 또한 포드사의 기술력이 반영된 서스펜션과 안전 시스템 덕분에 편안한 승차감과 주행 안전성이 향상되었습니다.
성공과 의미
그라나다는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에서 비교적 고급 차량으로 자리 잡았으며, 당시 기업 임원 및 고위 공직자, 국회의원들에게 인기가 높았습니다. 이는 현대자동차가 단순한 대중적인 차량을 생산하는 제조사라는 이미지를 넘어 고급 차량 시장에도 도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였습니다.
또한 그라나다의 도입을 통해 현대자동차는 해외 자동차 제조사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이후 독자적인 대형 세단을 개발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훗날 현대자동차의 대표차량 중 하나인 그랜저와 같은 성공적인 대형 세단 개발로 이어지게 됩니다.
대형차 시장의 성공적인 진입
1978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그라나다는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기술적 발전을 상징하는 모델이었습니다. 단순한 조립 생산을 넘어서, 현대자동차라는 회사가 고급 세단 시장으로의 진입을 시도한 중요한 모델이었으며, 이후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고급화와 글로벌 진출의 토대를 다지는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라나다 또한 현재 도로에서 보기 힘든 모델이 되었지만, 우리나라 자동차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는 이후 독자적인 기술력과 디자인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혁신을 이루었으며, 오늘날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성공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자동차 <132> 1979년 - 디자인 성능 엔진 특징 인테리어 (2) | 2025.02.19 |
---|---|
기아자동차 <604> 1979년 - 탄생배경 디자인 성능 특징 시장반응 (1) | 2025.02.19 |
현대자동차 <포니> 1975년 - 탄생배경 디자인 성능 특징 (2) | 2025.02.19 |
기아자동차 <브리샤> 1973년 - 디자인 성능 사양 복원프로젝트 (4) | 2025.02.19 |
현대자동차 <20M> 1969년 - 디자인 성능 특징 (6)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