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 본 분들은 공감하실 겁니다. 검사 시 사용되는 가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많은 병원에서 기존의 공기 대신 CO2 가스를 사용한 대장내시경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
사진출처 : Lt.Cmdr. Jesse Ehrenfeld,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
기존 공기 주입 방식의 문제점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검사 후 복부 팽만감이나 통증으로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검사 중 대장을 잘 관찰하기 위해 주입한 공기가 원인입니다. 저도 처음 대장내시경 받은 후 내장쪽에 구멍이 난 줄 알았습니다. 너무 너무 아파서 큰일이 난 줄 알고 간호사 분께 잘못됐다고 했는데 조금 기다리면 가스가 빠져서 괜찮아 질거라는 말에 한참을 고통속에 보냈던 기억이 납니다. 기존 방식에서는 일반 공기를 주입했는데, 이 공기의 주성분인 질소와 산소는 장 점막을 통해 잘 흡수되지 않습니다. 그 결과 검사가 끝난 후에도 공기가 장 안에 남아있어 방귀나 트림으로 배출될 때까지 수 시간 동안 복통과 불편감을 유발하게 됩니다.
CO2 가스 주입 방식의 장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바로 CO2 가스를 이용한 대장내시경입니다. CO2 가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빠른 흡수율 CO2 가스는 장 점막을 통해 1-2분 내에 100% 흡수됩니다. 이는 일반 공기보다 약 150배 빠른 속도입니다.
- 복통 감소 빠른 흡수로 인해 검사 후 복통과 복부 팽만감이 현저히 줄어듭니다.
- 빠른 회복 검사 직후부터 환자의 불편감이 줄어들어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릅니다.
- 안전성 CO2 가스는 수십 년간 복강경 수술에서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 선명한 관찰 CO2 가스 사용 시 대장 내부를 더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어 검사의 정확도가 향상됩니다.
만족도 개선
CO2 가스를 이용한 대장내시경은 검사 받는 분의 만족도를 크게 개선시킵니다. 그 경험자가 바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검사 자체는 수면으로 편하게 받았더라도, 이후 수 시간 동안 복통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CO2 가스를 사용하면 이러한 불편함이 대폭 감소합니다.
특히 대장내시경 검사 중 용종 제거 등의 시술을 받은 경우, CO2 가스 사용으로 인한 이점이 더욱 두드러집니다. 시술 후 복부 불편감이 빠르게 해소되어 환자의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미국의료계의 권고사항
이러한 이점들 때문에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는 내시경 검사 시 실내 공기 대신 의료용 CO2 가스를 주입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많은 병원들이 CO2 대장내시경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주의사항
CO2 대장내시경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추가 비용 CO2 가스 주입 장비 구입 등으로 인해 병원에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개인차이 흡수 속도와 회복 시간에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CO2 가스를 사용하더라도 검사 당일에는 격렬한 운동이나 음주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CO2 가스를 이용한 대장내시경
기존의 공기 주입 방식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검사 후 환자의 불편감을 크게 줄여주어 대장내시경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장암은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CO2 대장내시경의 도입으로 검사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다면, 더 많은 분들이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게 되어 대장암 조기 발견율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으실 계획이 있다면, CO2 가스를 사용하는 병원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건강한 장을 위해, 정기적인 검진을 잊지 마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쭈꾸미 제철 맛집 추천 탐방기 (7) | 2025.03.25 |
---|---|
장염의 원인과 초기증상 그리고 완화 방법 (15) | 2025.03.24 |
화농성 한선염 -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정리 (12) | 2025.03.24 |
현대사회에서 정신·심리건강 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이유 (11) | 2025.03.23 |
2025년 정신·심리치료를 위한 지원프로그램 총정리 (6)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