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생활정보] 2025년 2월 추천 공공서비스 - 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

by bravilife 2025. 2. 25.
반응형

이사철을 맞아 행정안전부가 2025년 2월 추천 공공서비스로 '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선정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지자체, 가전제품 제작·판매사가 협력하여 2014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친환경 정책입니다.

글의 이해를 돕기 위한 폐가전 수거 차량 이미지

서비스 개요

목적: 부품 재활용 증가, 폐기물 배출 감소

대상: 일반 가정의 폐가전제품

비용: 무료

 

이용 방법

온라인(인터넷) 예약

전화 예약

  • 1599-0903으로 연락
  • 평일 8:00-18:00 운영

아파트 관리 앱 이용 (공동주택 거주자):

  • '아파트아이', '아파트리', '아파트너' 등의 앱에서 신청 가능

 

수거 가능 품목

대형가전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1개부터 수거 가능)
소형가전   전자레인지, 청소기, 선풍기 등 (5개 이상부터 수거)

반응형

주의사항

  • 에어컨, 벽걸이 TV 등 설치제품은 미리 분리 필요
  • 사다리차 등 특수 장비가 필요한 경우 수거 불가

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사항들을 주의해야 합니다

  1. 수거 당일 집에 있어야 합니다. 기사님이 연락 후 방문하므로 반드시 집에서 대기해야 합니다.
  2. 설치된 제품은 미리 철거해야 합니다. 에어컨, 벽걸이 TV, 공유기, CCTV 등은 서비스 이용 전에 미리 분리해 놓아야 합니다.
  3. 폐가전을 현관 앞에 미리 꺼내놓지 마세요. 기사님이 직접 방문하여 확인 후 수거합니다.
  4. 예약 변경이 필요한 경우 미리 연락하세요. 방문 하루 전까지 콜센터(1599-0903)로 연락해야 합니다.
  5.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은 잉크나 토너가 새지 않도록 고정해야 합니다.
  6. 소형가전은 5개 이상일 때만 무료 수거가 가능합니다.
  7. 배터리와 전원 코드는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8. 사다리차나 크레인이 필요한 경우, 제품을 분해해야 하는 경우, 위험한 곳에 설치된 경우 등은 미리 수거 가능한 상태로 조치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들을 지키면 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더욱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이 서비스를 통해 폐가전을 편리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사 시 꼭 활용해보세요!

반응형